일본의 부동산 버블붕괴와 똑같은 실패를 되풀이할 것인가?
日本の不動産バブル崩壊の二の舞を繰り返すのか?
韓国の不動産バブル崩壊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몰려오는 한국의 부동산 버블붕괴
1980년말의 버블 붕괴 이후, 일본의 부동산의 시가는 600조엔 이상 폭락
5.地価下落・住宅価格下落
1980年代末期の日本での不動産バブルは、価格上昇の原資は主に国内のマネーだけであったです。
大蔵省が行った総量規制で銀行の不動産向け融資が沈静化し、地価が大幅に下がり始めバブルが崩壊しました。
それまで土地神話のもと、決して下落することがない、と言われた地価が下落に転じ、以後、2005年に至るまで、公示価格は下がり続けたです。
2005年以降は、一部の優良な場所の公示価格が上昇に転じています。
1998年末の時点で日本の不動産の価値は2797兆円に及び、住宅・宅地の価値は1714兆円と不動産全体の約6割を占めていました。
1998年末の土地資産総額はピーク比で794兆円、株式資産総額は同じくピーク比で574兆円減少しています。
1980年末のバブル崩壊以降、日本の不動産の時価は600兆円以上暴落しました。
日本全体の土地資産額は、1990-2002年で1000兆円減少しました。
バブル崩壊で日本の失われた資産は、土地・株だけで約1400兆円とされています。
内閣府の国民経済計算によると日本の土地資産は、バブル末期の1990年末の約2456兆円をピークに、2006年末には約1228兆円となりおよそ16年間で約1228兆円の資産価値が失われたと推定されています。
また、バブル崩壊直前に高値で住宅を購入し、以後の価格下落で憂き目を見る例も少なくないです。
資産価格が下落したにもかかわらず固定資産税が高止まりしたままだったり、バブル崩壊後の低金利へローンを借り替えようとしても担保割れで果たせないなどであります。
高値で買った同じマンションの別室がバブル崩壊後に破格値で売り出され、資産価値下落の補償を求める訴訟も起こされたが、大半は自己責任として補償を得られずに終わっています。
経済学者の竹中平蔵は「バブル崩壊によって日本の地価が下がったが、これも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の一環であると考えることができます。
日本の地価が下がってきたことは、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によって起きた制度の競争、『要素価格均等化の命題』の流れに沿っているという見方もできる」と指摘しています。
5. 땅값 하락 주택 가격 하락
1980년대 말기의 일본에의 부동산 버블은 가격 상승의 재원은 주로 국내의 돈 뿐이었습니다.
대장성이 시행한 총량 규제로 은행의 부동산 대출이 진정하고 땅값이 크게 떨어지기 시작해 버블이 붕괴했습니다.
그 때까지 토지 신화의 근본, 결코 떨어지는 일은 없다고 말한 지가가 하락으로 전환해, 이후 2005년에 이르기까지 공시 가격은 계속 하락했습니다.
2005년 이후는, 일부의 우량 장소의 공시 가격이 상승으로 돌아서 있습니다.
1998 년말 기준으로 일본의 부동산 가치는 2797조엔에 이르고, 주택 · 택지의 가치는 1714조엔으로 부동산 전체의 약 60 %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1998년 말 시점으로 토지 자산 총액은 피크 대비 794 조엔 주식 자산 총액은 같은 피크 대비 574 조엔 감소하고 있습니다.
1980년말의 버블 붕괴 이후, 일본의 부동산의 시가는 600조엔 이상 폭락했습니다.
일본 전체의 토지 자산은, 1990- 2002년에 1000조엔 감소했습니다.
버블 붕괴로 일본의 잃어버린 자산은 토지 · 주식 만으로 약 1400조엔으로 되어 있습니다.
내각부의 국민 경제 계산에 따르면 일본의 토지 자산은, 버블 말기의 1990년말의 약 2456조엔을 정점으로 2006년 말에는 약 1228조엔으로 되어 대략 16년간 약 1228조엔의 자산 가치가 손실 되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또한 버블 붕괴 직전에 고가로 주택을 구입하고, 이후의 가격 하락으로 쓰라린 체험을 보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자산 가격이 하락 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정자산세가 높이 유지한 채이거나, 버블 붕괴후의 저금리로 대출을 빌려 바꾸려고 해도 담보 균열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입니다.
고가로 구입한 같은 아파트의 별실이 버블 붕괴 후의 파격적인 값에 팔려나가, 자산 가치 하락의 보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했지만 대부분은 자기 책임으로 보상을 얻지 못하고 끝납니다.
경제학자의 다케나카 헤이조는 「버블 붕괴로 인해 일본의 땅값이 하락했지만, 이것도 세계화의 일환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일본의 땅값이 내려 온 것은 세계화에 의해 일어난 제도의 경쟁 『요소 가격 균등화 명제』의 흐름에 따른 것이었다는 견해도 된다 」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일본을알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일본 부동산 버블 붕괴후 주요 금융 기관의 파탄 !! (0) | 2018.04.07 |
---|---|
29. 버블경제 / 버블의 발생에서 붕괴까지의 흐름 / 일본의 곳곳에 존재하는 사람이 살지않는 유령도시 !! (0) | 2017.10.06 |
36. 버블탑의 의미를 반드시 알아야 할 때가 온 것 !! / 도쿄도 신주쿠 구에 건축 도중에 자금 융통이 따르지 않아, 약 10년간 방치된 버블탑 아파트 / 도쿄도청은 20여년을 거친 버블탑의 하나로.. (0) | 2017.09.30 |
6. 부동산 버블붕괴에 따른 부실 채권 확대 / 부실 채권의 순손실 총액은 100조엔 !! (0) | 2017.09.28 |
4. 일본 버블 붕괴의 전개 / 도쿄 증권 거래소 불과 9개월여 동안에 반값으로 폭락 !! (0) | 2017.09.27 |
3. 일본의 버블에 대한 금융 긴축책 실패 → 버블 붕괴에 대한 지식인의 견해 (0) | 2017.09.27 |
2. 일본 버블붕괴의 요인 / 부동산 버블이 터진 진짜 이유 !! (0) | 2017.09.27 |
1. 일본 버블붕괴 개요 / 일본의 버블붕괴를 알아야 살아남을 수 있다 !! (0) | 2017.09.27 |
33. 버블경제 / 플라자 합의 / 버블붕괴의 결정적인 발단은 플라자합의 / 미국 뉴욕 주 뉴욕시의 플라자 호텔 / 일본은 경제력으로 미국에 침공 !! (0) | 2017.09.20 |
32. 버블경제 / 버블의 역사 / 1985년 9월 플라자 합의가 일본 버블경기의 직접적인 방아쇠 !! (0) | 2017.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