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역 옆에 높이 390미터의 빌딩 착공
東京駅隣に高さ390メートルのビル着工
3만 평방미터에 오피스와 상업시설 10년후 완성 !!
あべのハルカス / 오사카 초고층빌딩 아베노하루카스
경제 계획의 채용은 공황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
31. バブルの予防
自由な市場取引ではストックの適正価格はつきつめるところ市場参加者の誰にもわからないため、過剰な期待や失望が群集雪崩を起こし、バブルや恐慌を発生させます。
厚生経済においては拡張期には主に物価の高騰、収縮期(恐慌期)には消費や投資の停滞、失業の拡大が問題となります。
物価や賃金の統制、経済計画の採用は恐慌の発生を未然に防ぐ有望な手立てであったが、長期的な観点では必ずしも経済厚生を高めるものではなかったです。
バブルを引き起こさないためには、株式や土地などの価格変動による売買収益をもくろむ投資行動、とくにオルタナティブ投資を制限する、市場の自由な取引形態を制限し行政府や公的機関が取引ルールに関与する、公的年金資金や中央銀行によるアナウンスメントや介入、政策金利や税制による関与などが行われます。
近年では機関投資家の自己売買と成功報酬型の報奨制度が過剰なリスクマネーをもたらしていると批判されています。
時価会計主義による財務指針を取得原価主義に戻すべきだとの主張もあるが、これにはかえって市場の透明性を削ぐものだとの批判があります。
オルタナティブ投資では過剰なレバレッジがストップロスオーダーによる異常な価格変動をもたらしていると批判されています。
行政府や議会による公的関与についても政府の失敗の問題があり、バブルの生起(市場の失敗)を代替するものではないです。
政策金利や公定歩合はマクロ経済を誘導する強力な政策手段であるが、経済の自然成長率(自然利子率)もまた、市場参加者の誰にも分からないものであり、議会の干渉や当局の誤判断により誘導金利と自然利子率とが長期的に乖離することでバブルや恐慌の原因になることがあります。
インフレターゲットの議論は人為的な政策金利への干渉をなくせとの主張であるがその有効性が歴史的に立証された段階にはないです。
キャリートレードの存在も重要であります。
先進国は人口の停滞もあり低成長から市中金利が低迷している一方で、新興国ではキャッチアップによる高成長が長く続いており、先進国の低利な短期資金を組み替え長期資金とし(長短スワップ)新興国へ投資するキャリートレードが活発に行われているが、恐慌の発生などで先進国での市中金利が急騰することで新興国への投資資金が引き上げられ(アンワインディング)通貨が急落するなど混乱の原因となっています。
アジア通貨基金や国際通貨基金などによる国際支援スキームが形成されているが混乱を予防するものではないです。
31. 버블 예방
자유로운 시장 거래에서는 스톡의 적정 가격은 추구하는 시장 참가자의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과도한 기대와 실망이 군중 눈사태를 일으켜, 거품과 공황을 발생시킵니다.
후생 경제에서는 확장기에는 주로 물가의 급등, 수축기 (공황기)에는 소비나 투자의 정체, 실업의 확대가 문제입니다.
물가나 임금의 통제, 경제 계획의 채용은 공황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유망한 수단이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반드시 경제 후생을 높이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거품을 일으키지 않기 위해서는, 주식이나 토지 등의 가격 변동에 따른 판매 수익을 꾀하는 투자 행동, 특히 대체 투자를 제한하는, 시장의 자유로운 거래 형태를 제한하여 행정부와 공공 기관이 거래 규칙에 관여하는, 공적 연금 자금과 중앙 은행에 의한 알림과 개입, 정책 금리와 세제에 의한 관여 등이 이루어집니다.
근년에는 기관 투자자의 자기 매매와 성공 보수형의 보장 제도가 과도한 리스크 머니를 제공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시가 회계주의에 의한 재무 지침을 취득 원가주의에 돌려 보내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여기에는 오히려 시장의 투명성을 없애는 것이라는 비판이 있습니다.
대체 투자는 과도한 레버리지가 손절매 주문에 의한 비정상적인 가격 변동을 초래하고 있다고 비판받고 있습니다.
행정부와 의회에 의한 공적 관여에 대해서도 정부의 실패의 문제가 있어, 거품의 발생 (시장의 실패)을 대체하는 것은 아닙니다.
정책 금리와 공정 이율은 거시 경제를 유도하는 강력한 정책 수단이지만, 경제의 자연 성장율 (자연 이자율)도 또한, 시장 참가자의 아무도 모르는 것이며, 의회의 간섭이나 당국의 오판에 의해 유도 금리와 자연 이자율이 장기적으로 괴리하여 거품이나 공황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인플레 타겟의 의론은 인위적인 정책 금리에 대한 간섭을 없애라는 주장이지만 그 유효성이 역사적으로 입증된 단계는 아닙니다.
캐리 트레이드의 존재도 중요합니다.
선진국은 인구의 정체도 저성장에서 시중 금리가 부진할뿐으로, 신흥국에서는 캐치업에 의한 고성장이 오래 계속되고 있어, 선진국의 저금리 단기 자금을 재조합 장기 자금으로 (장단 스왑) 신흥국에 투자하는 캐리 트레이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위기의 발생 등으로 선진국에서 시중 금리가 급등하여 신흥국에 투자 자금이 인상되어 (unwinding 언와인딩) 통화가 급락하는 등 혼란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아시아 통화 기금이나 국제 통화 기금 등에 의한 국제 지원 계획이 형성되어 있지만 혼란을 예방하는 것은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일본을알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일본의 버블에 대한 금융 긴축책 실패 → 버블 붕괴에 대한 지식인의 견해 (0) | 2017.09.27 |
---|---|
2. 일본 버블붕괴의 요인 / 부동산 버블이 터진 진짜 이유 !! (0) | 2017.09.27 |
1. 일본 버블붕괴 개요 / 일본의 버블붕괴를 알아야 살아남을 수 있다 !! (0) | 2017.09.27 |
33. 버블경제 / 플라자 합의 / 버블붕괴의 결정적인 발단은 플라자합의 / 미국 뉴욕 주 뉴욕시의 플라자 호텔 / 일본은 경제력으로 미국에 침공 !! (0) | 2017.09.20 |
32. 버블경제 / 버블의 역사 / 1985년 9월 플라자 합의가 일본 버블경기의 직접적인 방아쇠 !! (0) | 2017.09.20 |
30. 버블경제 / 투자자의 행동과 거품의 상관성/ 제 2의 버블 전성기를 맞은 일본의 건설경기 초호황 !! (0) | 2017.09.19 |
28. 헤이세이 불황 / 버블붕괴 이후의 경제 침체 기간을 총칭「헤이세이 시대의 불황」 (0) | 2017.09.18 |
27. 관제 불황의 원인 / 배경은 포퓰리즘과 언론선동에 지배되기 쉬운 국민성 (0) | 2017.09.18 |
26. 관제 불황 / 의도적으로 기업의 업적의 악화와 경기 침체, 불황을 발생하게 하는 것 (0) | 2017.09.18 |
25. 잃어버린 10년 / 국가 또는 지역의 경제 침체가 약 10년 이상의 장기에 걸치는 기간 (0) | 2017.09.16 |